정책 안내

[2024 놓치면 손해! 청년정책] 청년 복지 지원 정책 총정리

레츠부 2024. 2. 28. 15:58

2024년 놓치면 손해,

꼭 알아야 할 청년 정책 "복지편" 입니다.

 

💡여기 포스팅에서 다 알려드립니다

1. K-패스란?

2. 청년 마음건강 지원이란?

3. 자립준비청년 맞춤형 지원이란?

4. 고립·은둔청년 지원체계란?

5. 가족돌봄청년 지원체계란?

 

1. K-패스

<한줄요약>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시 대중교통비의 일정 비율 환급 (24년 5월)

 

 K-패스는 교통비를 최대 53%나 돌려주는 교통지원 정책입니다.

할인율은 청년 30%이며, 적립한도는 월 최대 60회입니다.

청년을 대상으로 연간 32만 4,000원 환급이 됩니다. (대중교통비 1,500원 기준)

 

교통비로 고정지출이 큰 청년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관심있으신 분은 밑의 링크 또는 다른 방법들을 참고하셔서 

꼭 신청을 하시면 좋겠습니다.

 

2024년 청년 복지 지원 정책에서 교통비 지원이 되는

연간 32만원의 혜택을 절대 놓치지마세요.

 

*참고로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는 기존에 발급받았던 교통카드로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 K-패스 누리집(korea-pass.kr) 방문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11개 카드사 홈페이지
: 24년 상반기 중 오픈 예정이라고 합니다.


 

2. 청년 마음건강 지원

<한줄요약> 3개월 간 일대일 맞춤형 전문 심리 상담 지원 (사전,사후 검사 포함, 자립준비청년은 본인부담금 면제)

 

청년 마음건강 지원은 3개월 간 일대일 맞춤형 전문 심리 상담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24년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으로 확대된다고 하는데요, 사전·사후 검사(각 1회/90분)을 포함합니다.

본인부담금은 10%이며, 자립준비 청년은 본인 부담금이 면제라고 합니다.

 

마음건강으로 인해 삶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4년 청년 복지 지원 정책에서 이에 대해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본인부담금은 10%밖에 되지 않으므로 꼭 신청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자립 준비 청년에 해당되시는 분은 본인 부담금도 면제입니다.

 

마음건강에 대해 심리 상담이 필요하신 분은 꼭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신청방법] 복지로 누리집(www.bokjiro.go.kr) 방문

또는 주민등록상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후 신청


3. 취약청년 지원정책

<한줄요약> 자립준비청년에 대한 인상/전담인력/사례관리 모두 확대됩니다.

 

청년이 안정적인 사회정착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취약청년 지원정책입니다.

자립수당은 23년 월 40만원에서 24년 월 50만원으로 인상됩니다.

자립지원 전담인력은 23년 180명에서 24년 230명으로 확충됩니다.

맞춤형 사례관리 대상은 23년 2,000명에서 24년 2,750명으로 확대됩니다.

 

취약청년으로 어려움이 있으신 분들은 안정적인 사회정착을 위해

2024년 청년 복지 지원 정책에서 도움을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내드린 청년 복지 지원 정책 내용에 대해 참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


 

4. 고립·은둔청년 지원체계

<한줄요약> 상시 발굴 체계, 전담 지원체계 및 맞춤형 프로그램, 예방을 위한 사업 연계 실시

 

고립, 은둔 청년은 심각한 사회문제입니다. 이를 위해 지원체계가 구축이 된다고 하는데요.

상시 발굴 체계로 청년을 사회에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돕고,

전담하여 지원을 하는 프로그램과 체계가 구축된다고 합니다.

또한 생애주기에 따라 고립과 은둔을 예방할 수 있는 사업이 실시된다고 합니다.

 

관련 내용 참고하셔서 2024년 청년 복지 지원 정책에 대해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5. 가족돌봄청년 지원체계 구축

<한줄요약> 전담 기관·인력 배치, 전담인력 사례관리 지원, 자기돌봄비 연 200만원 지원, 정서회복 프로그램

 

청년이 안정적으로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가족돌봄청년 지원체계가 구축된다고 합니다.

전담 기관, 인력 배치가 4개 시도에 진행됩니다. 돌봄 코디네이터는 센터당 6명 배치됩니다.

또한 전담인력 사례 관리 지원이 진행됩니다.

자기돌봄비는 연 200만원 지원됩니다.

정서 회복 프로그램이 자조모임 등으로 진행되므로 관심있으신 정보를 기억해두시면 좋겠습니다.


 

2024년에는 취약청년을 위한 많은 정책이 있습니다.

오늘은

1. K-패스란?

2. 청년 마음건강 지원이란?

3. 자립준비청년 맞춤형 지원이란?

4. 고립·은둔청년 지원체계란?

5. 가족돌봄청년 지원체계란?

에 관한 주제로 알아보았습니다.

 

궁금하신 사항에 대해서는 댓글을 주시면 확인 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도움이 되신 분은 공감, 댓글 부탁드리겠습니다.

앞으로 도움이 되는 글을 작성하는 데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